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모두아아/사춘기

(3)
공부에 흥미 없는 중3, 2학기 동기 부여 전략 중3의 2학기는 학업 부담이 가장 크고, 고등학교 진학을 앞둔 중요한 시기입니다. 하지만 이 시기에는 공부에 흥미를 잃거나, 성적 하락으로 인해 더 멀어지는 경우도 흔히 발견합니다. 1, 2학년 때는 잘 하다가 3학년이 되어서 갑자기 공부에 흥미를 잃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이 시기를 가벼이 여기다간 자칫 고교 진학에 어려움이 초래됩니다. 단순한 ‘공부하라’는 압박 대신, 학습 동기 회복·생활 루틴 재정비, 그 중에서도 부모의 지지적인 소통을 우선시되어야 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아이의 관심사와 강점을 찾고, 학습과 연결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실제 상담 사례와 표로 정리한 ‘동기 회복법’과 ‘루틴 점검표’를 통해 부모님과 아이가 남은 2학기를 슬기롭게 대처해나갈 수있..
중학생 사춘기 아이, 이성친구 이해와 건강한 연애관 형성 방법 저희 아이는 고등학생이 되어서 이성친구 교제를 한 케이스입니다.우리 부부에게 여친이 있다고 처음 고백하던 때의 모습이 지금도 생생합니다.안 그래도 자주 웃고, 더 꾸미고, 종종거리면서 외출이 잦아지던 모습이 이상했는데바로, 실반지를 나눠 끼는 이성친구가 생겼던 것입니다. 설렘과 뿌듯함으로 가득하던 아이의 얼굴을 마주하며 우리 부부는 웃으면서 귀기울였습니다. '좋은 아이를 만났구나. 그래서 내 아이가 행복하구나.'물론 이 생각의 이면에 '공부는 언제 하고?' 라는 꼬리표도 빠지지 않고 따라왔습니다.^^그래도 저희 부부는 좋았습니다. 내 아이가 웃고 있었으니까요. 행복해 하니까요. 건강한 이성교제는 부모가 줄 수없는 행복감을 가져다 줍니다. 그만큼 귀하고 소중한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춘기 시절, 우리..
사춘기 자녀 2학기 , 부모와 아이가 함께 웃는 학교생활 만들기 사춘기 자녀, 참 쉽지 않죠? 말 잘 듣고, 알아서 공부하고, 알아서 성장하는 아이는 대부분 엄마 친구 아들, 옆집 아들이라고 합니다.^^우리는 옆집 아들을 키우고 있지 않잖아요. 내 아이는 옆집 아이와 비슷하지만 다릅니다. 내 아이는 내 아이대로 자랄 수 있도록 부모의 지지가 필요합니다. 보이지 않는 응원이 아이의 키만큼 마음도 자라게 합니다.2학기는 학업·관계·정체성 탐색이 한꺼번에 밀려오는 격변기입니다. 방학 동안 흐트러진 생활 리듬을 회복하고, 교우관계를 재정비하며, 학습 집중력을 회복하는 체계적인 가이드가 필요합니다. 비난을 줄이고 공감을 늘리는 대화법, 수면·식사·학습 루틴을 재설계하는 절차, 그리고 실제 상담 사례에서 검증된 실전 스크립트를 제공합니다. ‘피해야 할 말 vs 권장 대화’, ‘..

반응형